전체 > 문화
불황에도 2조5천억 매출! '울보 인형'에 빠진 MZ세대의 충격적 소비 심리

이들 캐릭터의 성공 전략은 SNS 밈(meme)을 통해 인지도를 쌓은 후, 팝업스토어와 협업 상품 등으로 오프라인 접점을 확대한 것이다. 특히 라부부 열풍의 중심에는 중국 완구 브랜드 팝마트의 공격적인 마케팅이 있었다. 팝마트는 2019년 라부부의 독점 라이선스를 확보한 후 본격적인 상품화에 나섰다.
라부부는 다소 기괴하면서도 귀여운 '어글리 큐트(Ugly Cute)' 콘셉트를 내세워 Z세대의 취향을 정확히 공략했다. 여기에 블라인드 박스 판매 방식을 결합해 소비자들의 수집 욕구와 호기심을 동시에 자극했다. 어떤 제품이 나올지 알 수 없는 미스터리 박스 방식은 개봉의 즐거움을 선사했고, 희소성이 강조된 한정판 전략은 리셀 시장에서의 가격 폭등으로 이어졌다. 실제로 정가 수만 원대의 라부부 한정판은 수십 배의 가격으로 거래되며 팬덤의 높은 충성도를 입증했다.
이러한 인기는 곧바로 실적으로 이어졌다. 하나금융연구소에 따르면 팝마트의 2024년 매출은 130억 위안(약 2조5000억원), 영업이익은 42억 위안(약 8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두 배, 세 배 증가했다. 주가 역시 연초 대비 13배 급등해 시가총액이 3600억 홍콩달러(약 63조6000억원)에 달했다. JP모건은 라부부를 차세대 헬로키티로 평가하며 향후 수년간 고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라부부의 성공에 이어 '크라이베이비'도 빠르게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큰 눈망울과 볼에 맺힌 눈물이 트레이드마크인 이 캐릭터는 귀여움과 동시에 위로의 메시지를 담아 소비자들에게 다가갔다. '마음껏 울어도 된다'는 단순하지만 직관적인 정서적 메시지는 불확실한 경제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MZ세대의 공감을 효과적으로 이끌어냈다.
실제로 크라이베이비 관련 상품의 매출은 전년 대비 16배 이상 증가했으며, 팝마트 전체 매출의 10%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했다. 이는 단순한 캐릭터 상품을 넘어 소비자의 감정을 대변하고 위로하는 존재로서 캐릭터가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라부부와 크라이베이비의 인기를 단순한 캐릭터 열풍으로 보지 않는다. 이들 캐릭터가 소비자의 감정을 대변하고 위로하는 존재로 자리 잡으면서, 향후 시장의 경쟁력은 '감정 마케팅'에 달려 있다는 분석이다. 소비자들은 이러한 캐릭터 상품을 구매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위로받는 경험을 하게 된다.
업계 관계자는 "작은 굿즈 하나를 구매하는 행위 자체가 소비자에게는 자기 위로와 만족감을 주는 소비로 기능한다"며 "불확실성이 커지는 시대,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캐릭터가 결국 시장도 움직이는 만큼 라부부와 크라이베이비의 성공은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처럼 감정을 전면에 내세운 캐릭터들의 성공은 단순한 소비재를 넘어 현대인의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새로운 마케팅 패러다임을 보여주고 있다. 경제적 불확실성과 사회적 압박 속에서 작은 위로를 찾는 MZ세대에게 이러한 캐릭터들은 단순한 소유물이 아닌 감정적 동반자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issuemada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1살에 29억 벌고 먼저 은퇴해, 비법없고 규칙만 지켰다!
- 50대 부부 한알 먹고 침대에서 평균횟수 하루5번?
- 도박빚 10억 여배우K양 '이것'후 돈벼락 맞아..
- 로또용지 뒷면 확인하니 1등당첨 비밀열쇠 발견돼
- 서울 천호역 “국내 1위 아파트” 들어선다..충격!
- 新 "적금형" 서비스 출시! 멤버십만 가입해도 "최신가전" 선착순 100% 무료 경품지원!!
- 오직 왕(王)들만 먹었다는 천하제일 명약 "침향" 싹쓰리 완판!! 왜 난리났나 봤더니..경악!
- 주식, 비트코인 다 팔아라 "이것" 하면 큰돈 번다!
- 코인 폭락에.. 투자자 몰리는 "이것" 상한가 포착해! 미리 투자..
- [화제] 천하장사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서울 동작구" 집값 상승률 1위…이유는?
- 한의사 김오곤 "2주 -17kg 감량법" 화제!
- "빠진 치아" 더 이상 방치하지 마세요!!
- 2021년 "당진" 집값 상승률 1위..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