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문화
시민 혈세 빨아먹을 '퐁피두 분관', 부산시의회 6일 만에 '충격 번복'

더불어민주당 소속 전원석, 반선호 부산시의원은 10일 기자회견을 자청해 "시민의 혈세로 막대한 적자를 감당해야 하는 사업을 소통도 없이 강행하고 있다"며 포문을 열었다. 이들은 박형준 시장이 퐁피두 센터와의 양해각서(MOU)조차 비공개로 체결하며 시민의 알 권리를 원천적으로 차단했으며, 지역 예술계의 생존권 위협과 환경 훼손 우려를 철저히 외면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의 요구는 단호하다. "밀실 행정과 불투명한 절차, 무책임한 재정 운용에 대해 공개 사과하고, 내년 예산 편성을 포함한 모든 절차를 즉각 중단하라"는 것이다. 나아가 시의회를 향해서도 "시민의 뜻에 반하는 공유재산 심의 결과를 본회의에서 보류시켜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이러한 격렬한 반발의 배경에는 지난 9일 열린 부산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의 결정이 있다. 위원회는 '퐁피두 부산 분관 행정자산(취득) 계획안'을 가결 처리했다. 불과 6일 전인 3일, "더 면밀하고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하다"며 스스로 심사를 보류했던 사안을 번복한 것이다. 이 짧은 기간 동안 어떤 극적인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명쾌한 설명이 부재한 가운데, '우여곡절 끝 통과'라는 표현 뒤에는 석연치 않은 과정에 대한 의구심이 자리 잡고 있다.

논란의 가장 큰 핵은 단연 '돈' 문제다. 부산시가 스스로 내놓은 사업 수지 분석 자료에서조차 연간 76억 원에 달하는 적자가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담겼다. 이는 최소 추정치일 뿐, 실제 운영 과정에서 적자 폭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팽배하다. 글로벌 문화시설 유치라는 화려한 명분 아래, 그 재정적 부담을 고스란히 시민들이 짊어져야 하는 구조에 대한 비판이 거셀 수밖에 없는 이유다.
여기에 '불통 행정' 논란은 기름을 붓고 있다. 지역 야권과 문화예술계는 사업 구상 단계부터 유치 과정 전반에 걸쳐 시민과 지역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철저히 배제되었다고 주장한다. 부산의 문화 정체성과 생태계를 고려하기보다는, 외부의 유명 브랜드를 들여오는 데만 급급했다는 것이다. 조유장 부산시 문화국장이 "운영 적자 해소 방안을 찾고, 시민사회 및 지역 미술계와 소통을 강화하겠다"며 뒤늦게 진화에 나섰지만, 이미 돌아선 여론을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시의회 상임위 문턱은 넘었지만, 퐁피두 분관은 이제 본회의 표결과 예산 심사라는 더 큰 산을 마주하고 있다. '글로벌 문화도시 부산'이라는 청사진과 '세금 먹는 하마'가 될 것이라는 현실적 우려가 정면으로 충돌하는 가운데, 이 논란은 당분간 부산 지역 사회의 가장 뜨거운 감자가 될 전망이다.
issuemada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1살에 29억 벌고 먼저 은퇴해, 비법없고 규칙만 지켰다!
- 37억 자산가, 여름휴가 전 "이종목" 매수해라!! 한달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로또용지 뒷면 확인하니 1등당첨 비밀열쇠 발견돼
- 마을버스에 37억 두고 내린 노인 정체 알고보니..!
- "한국로또 망했다" 관계자 실수로 이번주 971회차 번호 6자리 공개!? 꼭 확인해라!
- 서울 전매제한 없는 부동산 나왔다!
- 서울 천호역 “국내 1위 아파트” 들어선다..충격!
- 월3000만원 벌고 싶으면 "이 자격증"만 따면 된다.
- 한달만에 "37억" 터졌다?! 매수율 1위..."이종목" 당장사라!
- "관절, 연골" 통증 연골 99%재생, 병원 안가도돼... "충격"
- [화제] 천하장사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남性 "크기, 길이" 10분이면 모든게 커져..화제!
- 죽어야 끊는 '담배'..7일만에 "금연 비법" 밝혀져 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