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사회issue
“K콘텐츠가 그렇게 무서웠나”…‘북극성’ 트집 잡던 중국, ‘도둑 시청’ 들통나자 국제적 망신살

논란의 시작은 극 중 유엔대사 출신 '문주' 역을 맡은 전지현의 대사였다. 4회에 등장한 "중국은 왜 전쟁을 선호할까요. 핵폭탄이 접경지대에 떨어질 수도 있는데"라는 이 대사에 중국 누리꾼들은 즉각적으로 반발했다. 이들은 해당 발언이 아무런 근거 없이 중국을 호전적인 국가로 매도하고 모욕했다며 비난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는 시작에 불과했다. 한번 불붙은 비난 여론은 드라마의 다른 장면들로까지 번져나갔다. 홍콩의 판자촌에서 촬영한 장면을 중국의 도시 '다롄'으로 설정한 것을 두고 "의도적으로 중국 도시를 낙후되고 추하게 표현하려는 저의가 명백하다"고 문제 삼았다. 또한, 극 중 인물이 별 다섯 개 문양이 새겨진 카펫을 밟는 장면을 포착해 "중국의 국기인 오성홍기를 모욕했다"고 주장했으며, 악역 캐릭터가 중국어를 사용한다는 점을 들어 "부정적인 이미지를 중국과 연결하려는 의도적인 장치"라는 억지 해석까지 내놓았다.

이러한 중국 누리꾼들의 집단적인 반발에 서경덕 교수는 자신의 SNS를 통해 일침을 가했다. 그는 "디즈니플러스는 넷플릭스와 마찬가지로 중국 내에서 정식 서비스가 되지 않는다"는 점을 환기하며, "결국 또 훔쳐봤다는 사실이 만천하에 드러나고 말았다"고 꼬집었다. 이어 "자신들은 남의 콘텐츠를 먼저 도둑질해놓고는 어떠한 부끄러움도 없이 생트집만 잡고 있는 꼴"이라며 이들의 이중적인 행태를 강하게 비판했다. 서 교수는 또한, "만약 대사에 정말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다면, 불법적인 경로로 의견을 표출할 것이 아니라 정식으로 제작사나 디즈니플러스 측에 항의하는 것이 순서"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 K콘텐츠의 세계적인 성공에 대한 중국 누리꾼들의 막연한 두려움과 위기감이 자리 잡고 있다고 분석하며, "그야말로 물불 안 가리고 K콘텐츠 '흠집 내기'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결국 이번 '북극성' 논란은 콘텐츠 자체에 대한 건전한 비평이 아닌, 불법 유통이라는 부끄러운 민낯 위에서 벌어진 비이성적인 트집 잡기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issuemada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복혈당" 300넘는 심각 당뇨환자 '이것' 먹자마자..바로
- 내장지방,원인은 비만균! '이것'하고 쏙쏙 빠져…
- 로또 972회 번호 6자리 몽땅 공개, "오늘만" 무료니까 꼭 오늘 확인하세요.
- 먹자마자 묵은변 콸콸! -7kg 똥뱃살 쫙빠져!
- 역류성식도염 증상있다면, 무조건 "이것"의심하세요. 간단치료법 나왔다!
- 일자리가 급급하다면? 月3000만원 수익 가능한 이 "자격증" 주목받고 있어..
- 주식, 비트코인 다 팔아라 "이것" 하면 큰돈 번다!
- 집에서 5분만 "이것"해라! 피부개선 효과가 바로 나타난다!!
- 코인 폭락에.. 투자자 몰리는 "이것" 상한가 포착해! 미리 투자..
- 한달만에 "37억" 터졌다?! 매수율 1위..."이종목" 당장사라!
- [화제] 천하장사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목, 어깨 뭉치고 결리는 '통증' 파헤쳐보니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부족한 머리숱,"두피문신"으로 채우세요! 글로웰의원 의)968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