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사회issue
1년 만에 순위 뒤집혔다…대한민국 40대, 암을 제치고 가장 많이 사망한 충격적인 원인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사망원인통계 결과’는 충격적인 현실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지난해 국내 총 자살 사망자 수는 1만 4,872명으로, 2011년 이후 13년 만에 최다치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6.4%나 급증한 수치다.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 역시 29.1명으로, 전년보다 6.6% 오르며 201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특히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40대 사망원인의 지각변동이다. 1983년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래 40여 년간 부동의 1위를 지켜온 ‘암’이 2위로 밀려나고, 그 자리를 ‘자살’이 차지했다. 지난해 40대 사망자 중 26.0%는 스스로 생을 마감했으며, 이는 암으로 인한 사망 비중(24.5%)을 넘어선 결과다. 불과 1년 전인 2023년에는 암(25.9%)이 자살(23.4%)을 근소하게 앞섰으나, 1년 만에 순위가 완전히 뒤바뀐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비단 40대만의 문제가 아니다. 경제 활동의 주축을 이루는 30대(14.9%), 40대(14.7%), 50대(12.2%)에서 자살자 수가 일제히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며 가파르게 늘었다. 노인 빈곤 문제로 여전히 노동 시장에 남아있는 60대 자살자 수 역시 3.9% 증가했다. 반면, 70대(-8.7%)와 80세 이상(-10.3%) 고령층에서는 자살자가 감소하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경제 활동 인구에서 집중적으로 자살률이 급등한 배경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지목한다. 박종익 강원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초대 중앙자살예방센터장)는 “결국 한마디로 먹고사는 문제가 자살률에 반영된 것”이라고 단언하며, 40대에서 자살이 사망원인 1위가 된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경고했다. 박 교수는 구매력 기준으로 국민 1인당 가계 순자산이 영국을 넘어서는 등 국가 전체의 부는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경제 활동 주체들이 느끼는 삶의 고통은 더욱 커졌다는 역설적인 상황을 지적했다. 이는 거시 경제 지표와 개인이 체감하는 삶의 질 사이의 괴리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방증한다.
정부 역시 이번 통계가 드러낸 심각성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예방 정책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2025 국가 자살 예방 전략’을 기반으로 자살 시도자에 대한 위기 개입을 강화하고, 각 지방자치단체의 자살 예방 전담 조직과 인력을 보강할 계획이다. 또한,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자살 관련 상담 전화 내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온라인상의 자살 유발 정보를 차단하는 등 다각적인 대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issuemada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개월 만에 35억벌었다!! 주식, 순매도 1위종목..."충격"
- 72억 기부한 미녀 스님, 정체 알고보니..충격!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도박빚 10억 여배우K양 '이것'후 돈벼락 맞아..
- 로또용지 찢지마세요. 97%이상이 모르는 비밀! "뒷면 비추면 번호 보인다!?"
- 먹자마자 묵은변 콸콸! -7kg 똥뱃살 쫙빠져!
- 비트코인'지고"이것"뜬다, '29억'벌어..충격!
- 주식, 비트코인 다 팔아라 "이것" 하면 큰돈 번다!
- 한달만에 "37억" 터졌다?! 매수율 1위..."이종목" 당장사라!
- "관절, 연골" 통증 연골 99%재생, 병원 안가도돼... "충격"
- [화제] 천하장사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농협 뿔났다" 로또1등 당첨자폭주.. 적중률87%
- 부족한 머리숱,"두피문신"으로 채우세요! 글로웰의원 의)96837
- “고양시 지식산업센터” 1년후 가격 2배 된다..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