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사회issue
정부의 '돈 풀기' vs 시장의 '물가 폭등', 추석 대목 앞두고 벌어진 소리 없는 전쟁

정부는 내수 침체 국면을 타개하기 위한 마중물로 1인당 10만 원의 2차 소비쿠폰 지급을 22일부터 개시했다. 앞서 지급된 1차 소비쿠폰이 얼어붙었던 소비 심리를 일부 되살리는 효과를 봤다는 판단에서다. 실제로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그린북 9월호'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는 111.4로 소폭 상승했으며, KDI 역시 정부의 소비지원 정책이 부진했던 소비를 완화하는 데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긍정적인 신호를 발판 삼아, 정부는 이번 2차 쿠폰 지급이 추석 연휴와 맞물려 소비 회복의 기폭제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지급된 쿠폰은 오는 11월 30일까지 사용해야 하며, 사용하지 않은 잔액은 소멸된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현실적인 체감 경기는 녹록지 않다.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농축수산물 가격이 일제히 급등하며 장바구니에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전년 동월 대비 쌀 가격은 11.0%나 폭등했고, 돼지고기(9.4%), 국산 쇠고기(6.6%), 달걀(8.0%) 등 명절 상차림에 필수적인 품목들의 가격이 무섭게 올랐다. 이는 올여름 계속된 폭우와 가뭄 등 이상기후로 인해 농작물 생육이 부진했던 데다, 도축 마릿수 감소와 재고량 부족 등이 겹친 복합적인 결과다.

이러한 물가 부담은 실제 소비자 지출 계획에도 고스란히 반영되었다. 한 소비자 단체의 조사 결과, 올해 추석 연휴에 지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은 가구당 평균 71만 2300원으로, 지난해(56만 3500원)보다 무려 26.4%나 급증한 역대급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최장 열흘에 달하는 긴 연휴 기간을 고려해 하루 평균 지출액을 계산하면 오히려 작년보다 소폭 감소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소비자들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품목 자체의 가격 상승과 부모님 용돈, 선물 등 고정 비용의 증가로 인해 총지출액이 역설적으로 늘어나는 상황에 부닥쳤음을 의미한다.
상황이 이렇자 정부도 다급해졌다. 소비쿠폰 지급만으로는 치솟는 물가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판단 아래, 추석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한 총력전에 나섰다. 21개 핵심 성수품 공급량을 역대 최대 규모인 17만 2000톤까지 늘리고, 할인 지원에도 역대 최대인 9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최대 50%까지 가격을 낮추겠다는 방침이다. 결국 10만 원의 지원금과 정부의 물가 안정 대책이 천정부지로 솟구친 제수용품 가격의 벽을 넘어, 닫힌 소비자들의 지갑을 열게 할 수 있을지가 이번 추석 연휴 내수 경기의 최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issuemada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복혈당" 300넘는 심각 당뇨환자 '이것' 먹자마자..바로
- 난임 고생하다 폐경 후, '57세' 최고령 쌍둥이 출산?
- 내장지방,원인은 비만균! '이것'하고 쏙쏙 빠져…
- 로또용지 찢지마세요. 97%이상이 모르는 비밀! "뒷면 비추면 번호 보인다!?"
- 역류성식도염 증상있다면, 무조건 "이것"의심하세요. 간단치료법 나왔다!
- 일자리가 급급하다면? 月3000만원 수익 가능한 이 "자격증" 주목받고 있어..
- "한국로또 망했다" 이번주 971회 당첨번호 6자리 모두 유출...관계자 실수로 "비상"!
- 공복혈당 300넘는 '심각당뇨환자', '이것'먹자마자
- 목, 어깨 뭉치고 결리는 '통증' 파헤쳐보니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로또1등' 수동 중복당첨자만 벌써 19명째 나왔다.
- 이만기의 관절튼튼 "호관원" 100%당첨 혜택 난리나!!
- “서울 천호” 집값 국내에서 제일 비싸질것..이유는?
- 10만원 있다면 오전 9시 주식장 열리면 "이종목" 바